맨위로가기

서대문구 갑 (1950년 선거구)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서대문구 갑은 1950년 제2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서대문구 선거구가 분구되면서 신설되었으며, 1973년 서대문구 갑, 을, 병 선거구가 통합되면서 폐지되었다. 1965년 재보궐선거에서 민중당 김상현 후보가 당선되어 야당의 주요 거점으로 자리 잡았으며, 민주화 운동과 진보 정치의 기반이 되었다. 역대 국회의원으로는 김용우, 김도연, 김재광, 김상현 등이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서울 서대문구의 정치 - 서대문구 을
    서대문구 을은 1988년에 신설되어 홍제3동, 홍은1동, 홍은2동, 남가좌1동, 남가좌2동, 북가좌1동, 북가좌2동을 관할하며, 임춘원, 장재식, 정두언, 김영호 등이 국회의원을 역임했다.
  • 서울 서대문구의 정치 - 서대문구 갑
    서대문구 갑은 1988년 신설된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구로, 자유주의와 보수주의 정당 후보들이 경합했으나 최근 더불어민주당이 4연속 승리했으며, 현재 충현동, 천연동, 북아현동, 신촌동, 연희동, 홍제1동, 홍제2동을 관할 구역으로 한다.
  • 서울특별시의 폐지된 선거구 - 중구 (1988년 서울 선거구)
    중구 (1988년 서울 선거구)는 1988년 제13대 총선을 앞두고 종로구·중구 선거구에서 분리되어 신설된 서울특별시 중구 지역의 국회의원 선거구였으나, 2016년 인구 감소로 성동구 갑·을 선거구와 통합되어 중구·성동구 을 선거구로 개편되었다.
  • 서울특별시의 폐지된 선거구 - 노원구 병
    노원구 병은 2004년 신설되어 2024년 폐지된 대한민국의 국회의원 선거구로, 노원구 을에서 분리된 상계동 일부로 구성되었으며, 임채정, 홍정욱, 노회찬, 안철수, 김성환 등이 역대 국회의원을 지냈다.
  • 1950년 신설된 대한민국 선거구 - 중구 갑 (서울)
    중구 갑 (서울)은 대한민국에서 1950년부터 1960년까지 존재했던 옛 국회의원 선거구로, 총 4번의 선거를 통해 원세훈, 윤치영, 주요한 등의 국회의원을 배출했으며, 주요한은 민주당 소속으로 연이어 당선되었다.
  • 1950년 신설된 대한민국 선거구 - 청주시 (선거구)
    1949년 청주부에서 개칭된 청주시를 기반으로 신설되어 1963년 청원군 사주면을 편입하며 확장되었으나, 1973년 청원군 선거구와 통합되어 청주시·청원군 선거구를 이루면서 폐지된 대한민국의 국회의원 선거구이다.
서대문구 갑 (1950년 선거구) - [선거구 정보]에 관한 문서
선거구 정보
이름서대문구 갑
의회국회
큰 지도서울특별시
연도1950
폐지1973
유형국회
이전 선거구서대문구
이후 선거구서대문구
의원 수1인

2. 역사

1950년 제2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서대문구 선거구가 갑, 을로 분구되면서 신설되었다.

1973년 제9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서대문구 갑, 을, 병 선거구가 서대문구 단일 선거구로 통합되면서 폐지되었다.

1965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에서 민중당 김상현 후보가 당선되면서, 서대문구 갑은 야당의 주요 거점으로 자리 잡았다. 김상현 의원의 당선은 당시 박정희 정권의 권위주의적 통치에 대한 저항의 상징으로 여겨졌다. 이후 서대문구 갑은 민주화 운동과 진보 정치의 중요한 기반이 되었다.

2. 1. 선거구 변천사

1950년 제2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서대문구 선거구가 갑, 을로 분구되면서 신설되었다.

1973년 제9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서대문구 갑, 을, 병 선거구가 서대문구 단일 선거구로 통합되면서 폐지되었다.

2. 2. 주요 정치적 사건

1965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에서 민중당 김상현 후보가 당선되면서, 서대문구 갑은 야당의 주요 거점으로 자리 잡았다. 김상현 의원의 당선은 당시 박정희 정권의 권위주의적 통치에 대한 저항의 상징으로 여겨졌다. 이후 서대문구 갑은 민주화 운동과 진보 정치의 중요한 기반이 되었다.

3. 역대 국회의원


3. 1. 제2대 (1950년)

대한민국 제2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갑 선거구에서는 무소속 김용우 후보가 50.19%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민주국민당 김도연 후보는 41.33%를 득표하여 2위를 기록하였다. 그 외 무소속 김윤하 후보는 8.46%를 득표하였고, 나머지 무소속 이창섭, 권혁영, 한오혁 후보는 득표에 실패하였다.

3. 2. 제3대 - 제5대 (1954년 - 1960년)

1954년 대한민국 제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국민당 김도연 후보가 38.97%의 득표율을 기록하여 당선되었다. 자유당 강창희 후보는 27.05%를 득표하였고, 김용우 후보는 26.88%를 득표하였다.

1958년 대한민국 제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민주당 김도연 후보가 69.33%의 득표율로 재선에 성공하였다. 자유당 이종림 후보는 23.85%를 득표하였다.

1960년 대한민국 제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민주당 김도연 후보가 71.14%의 득표율로 3선에 성공하였다. 무소속 신상초 후보는 19.94%를 득표하였다. 김도연 의원은 이승만 정권의 독재에 맞서 싸운 대표적인 야당 정치인이었다.

3. 3. 제6대 (1963년)

대한민국 제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정당 김재광 후보가 40.16%의 득표율을 기록하여 당선되었다. 그러나 이후 김상현 의원에게 자리를 내주게 되었다.

정당후보득표수득표율
민정당김재광24,13940.16
민주공화당조주영12,46220.73
국민의당1963송방용9,32715.51
민주당1963김동호7,05711.74
자유민주당1963강을순5,1318.53
자유당최진원7761.29
보수당강남식7291.21
추풍회계성범4820.80
신민회김대석00
합계60,103


3. 4. 1965년 재보궐선거

김재광 의원의 사임으로 인해 치러진 1965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에서 민중당 김상현 후보가 당선되었다. 김상현은 김대중 전 대통령의 최측근으로, 이 선거에서의 당선은 민주화 운동의 불씨를 지피는 계기가 되었다. 그의 당선은 당시 박정희 정권에 대한 강력한 도전으로 받아들여졌다.

3. 5. 제7대 - 제8대 (1967년 - 1971년)

대한민국 제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신민당 김재광 후보가 64.62%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민주공화당 김용우 후보는 31.87%를 득표하였다. 그 외 한국독립당 김진출 후보(0.79%), 대중당 현의암 후보(0.78%), 민중당 김경석 후보(0.61%), 자유당 최진원 후보(0.50%), 통한당 민병린 후보(0.45%), 정의당 계성범 후보(0.33%)가 출마했다.

대한민국 제8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신민당 김재광 후보가 73.19%의 득표율로 재선에 성공했다. 민주공화당 오유방 후보는 25.56%를 득표하였고, 대중당 현의암 후보(0.52%), 통일사회당 김대석 후보(0.38%), 민중당 김경석 후보(0.32%)가 출마했다.

4. 역대 선거 결과

4. 1. 제2대 국회의원 선거 (1950년)

대한민국 제2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갑 선거구에서는 무소속 김용우 후보가 50.19%의 득표율을 기록하여 당선되었다. 민주국민당 김도연 후보는 41.33%를 득표하여 2위를 차지하였다. 그 외 무소속 김윤하 후보는 8.46%를 득표하였고, 무소속 이창섭, 권혁영, 한오혁 후보는 득표에 실패하였다.

4. 2. 제3대 국회의원 선거 (1954년)

대한민국 제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국민당 김도연 후보가 38.97%의 득표율을 기록하여 당선되었다. 자유당 강창희 후보는 27.05%, 무소속 김용우 후보는 26.88%를 득표하였다.

4. 3. 제4대 국회의원 선거 (1958년)

대한민국 제4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갑 선거구에서는 민주당1955 김도연 후보가 69.33%의 득표율로 재선에 성공했다. 자유당 이종림 후보는 23.85%를 득표했고, 무소속 장순덕 후보는 3.23%, 무소속 양순이 후보는 2.21%, 무소속 장춘백 후보는 1.35%를 득표했다. 김도연 후보의 총 득표수는 26,638표, 이종림 후보는 9,166표, 장순덕 후보는 1,241표, 양순이 후보는 851표, 장춘백 후보는 522표였다.

4. 4. 제5대 국회의원 선거 (1960년)

대한민국 제5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갑 선거구에서는 민주당 김도연 후보가 71.14%의 득표율을 기록하여 당선되었다. 무소속 신상초 후보는 19.94%, 무소속 장순덕 후보는 6.65%, 무소속 최영훈 후보는 2.25%를 득표하였다. 총 투표수는 51,592표였다.

4. 5. 제6대 국회의원 선거 (1963년)

대한민국 제6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갑 선거구에서는 민정당 김재광 후보가 40.16%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민주공화당 조주영 후보는 20.73%, 국민의당 송방용 후보는 15.51%를 득표했다. 그 외 민주당 김동호 후보는 11.74%, 자유민주당 강을순 후보는 8.53%, 자유당 최진원 후보는 1.29%, 보수당 강남식 후보는 1.21%, 추풍회 계성범 후보는 0.80%, 신민회 김대석 후보는 0%를 득표했다.

4. 6. 1965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

김재광 의원의 사임으로 인해 치러진 1965년 대한민국 재보궐선거에서 민중당 김상현 후보가 당선되었다.

4. 7. 제7대 국회의원 선거 (1967년)

대한민국 제7대 국회의원 선거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갑 선거구에서는 신민당 김재광 후보가 64.62%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민주공화당 김용우 후보는 31.87%를 득표하여 2위를 기록하였다. 그 외 한국독립당 김진출 후보, 대중당 현의암 후보, 민중당 김경석 후보, 자유당 최진원 후보, 통한당 민병린 후보, 정의당 계성범 후보는 모두 1% 미만의 득표율을 기록하였다.

4. 8. 제8대 국회의원 선거 (1971년)

대한민국 제8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신민당 김재광 후보가 73.19%의 득표율을 기록하며 3선에 성공했다. 민주공화당 오유방 후보는 25.56%를 득표하였다. 그 외에 대중당 현의암 후보는 0.52%, 통일사회당 김대석 후보는 0.38%, 민중당 김경석 후보는 0.32%를 득표하는 데 그쳤다.

정당후보득표수득표율
신민당김재광52,58073.19
민주공화당오유방18,36625.56
대중당현의암3750.52
통일사회당김대석2790.38
민중당김경석2330.32
합계71,83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